
해당 글은 과거 velog에 쓴 글을 다듬어서 이전한 글입니다. 원본은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갑자기 API Docs 작성법?
이번 국방오픈소스아카데미의 해커톤 대회를 진행하면서 API Docs를 작성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API의 개념은 처음 접해봐서 생소하지만, 기왕 배우는 김에 API Docs 작성을 맡아서 해보았습니다. 이 글은 그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와 알게 된 여러 팁들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작성했습니다.
2. Notion이 뭔가요?
3. Markdown은 또 뭔가요?
4. 그래서 저 둘이 API Docs랑 무슨 관계인가요?
REST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면 필연적으로 API 문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누구나 해당 문서만 보고도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그 응답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죠. 이때 이러한 API 문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swagger, Postman 처럼 자동으로 빠르게 작성할 수도 있고, 아니면 일일이 손으로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전자가 효율성 면에서는 더 좋겠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후자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필자의 경우 군대라는 특수성 때문에 팀원 간의 협업을 위해 Notion + Markdown 으로 직접 작성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5. 어떻게 작성했나요?
1) Notion에서 API 문서용 페이지를 만듭니다.
6. 결론
비록 거창하거나 아주 새로운 내용은 아니지만, Notion + Markdown 이라는 나름 괜찮은 조합과 양식을 찾은 것 같아서 이렇게 글로 남겨보았습니다. 만약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서로의 역할을 잘 이해하고 능력이 된다면 swagger,Postman 같은 기능들도 꼭 써보는 걸 권장합니다.